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02 [언어학] 의미론. 4. 문장 관계와 진리(truth) 이번 챕터는 문장들 사이의 의미 관계와 문장의 의미를 참/거짓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문장의 의미에 대해 이야기 할 때, 문장이 그리는 그림에 대해 이야기하곤 한다. 문장이 어떤 그림을 묘사하는 지를 문장의 의미를 설명하는 데 비유적으로 자주 이용한다. synonymous(유사) 1) 그는 카카오에서 일을 한다. 2) 그는 카카오 직원이다. 1)과 2)는 유사한 문장이다. entail(수반, 포함) 1) 무정부주의자가 황제를 암살했다. 2) 황제는 죽었다. 1)번 문장은 2)번 문장을 함의한다. 수반한다. 1)번이 참이면, 2)번도 당연히 참이 된다. contradict(모순) 1) 내 친구가 방금 파리에서 돌아왔다. 2) 내 친구는 한 번도 파리에 가본 적이 없다. 두 문장이 동시에 '참'일 수 없다... 2020. 6. 2. [알고리즘] 백준. 정렬 #2750 요즘 백준 문제 풀이를 하루에 하나 정도 해 나가고 있다. 단계별로 풀이 중에서 하루에 한 단계씩, 그 중에 하나를 골라서 하고 있다. 오늘은 정렬이 주제였는데, 시간복잡도가 O(n2)인 정렬을 수행하는 문제였다. 파이썬을 사용하니 확실히 코드가 간결하고 짜기 쉽다. list를 이용해서 쉽게 구현할 수 있었다. 삽입 정렬과 비슷하게 구현된 거 같은데, 숫자가 하나씩 주어져서 이런 식으로 구현하는 게 나을 거 같았다. 예제 입력은 다음과 같다. 처음에 숫자의 개수를 입력 받고 그 뒤에 숫자가 하나씩 입력된다. 5 5 4 3 2 1 이에 대한 출력값은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다음과 같아야 한다. 1 2 3 4 5 다음은 구현한 코드이다. ### 정렬 n = int(input()) ls = [] for i .. 2020. 6. 1. [데이터베이스] 오라클. PCTFREE, PCTUSED Oracle DBMS에서 Disk에서 Buffer로 데이터가 올라올 때, 그 최소 단위를 data block으로 잡는다. 여기서 이 block은 OS의 block과는 다르다. 이 block에 대해서 우리는 몇 parameter를 설정할 수 있는데 그 중에 PCTFREE와 PCTUSED가 있다. 여기서 PCT는 Percent의 줄임말이다. 그러니 block 중에서 몇 percent를 비워두고 쓴 값으로 할 지에 대한 이야기이다. PCTFREE 우선 PCTFREE는 비어있는 값으로 설정할 범위이다. PCTFREE 20으로 주면 전체 block 중 20%를 비워놓겠다는 이야기이다. 그럼 이 설정값이 왜 필요할까? 이는 block에 들어있는 row의 자료형과 관련있다. row 내의 값을 수정했을 때 그 크기가 .. 2020. 5. 30. [언어학] 통사론. 지배 결속 이론(Government and Binding theory) 오늘은 GB(Government and Binding) 이론 aka P & P(Principle and Parameters) 이론인 지배 결속 이론에 대해 배웠다. 촘스키 통사론을 공부하려면 역시 그 사람의 이론을 초기부터 따라가 보는 게 좋은 것 같긴하다. 그 과정에서 이론의 발전과정을 따라가 볼 수 있고, 이 이론이 왜 나왔고 이 개념이 어디에 쓰이고, 이 개념은 어디서 정의된 것인지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쨌든, 지배 결속 이론은 "지배" 부분과 "결속" 부분이 있다. 우선은 "지배" 부분에 대해 이야기 해 보겠다. 이 "지배"라는 개념에 대해 먼저 이해해야 "결속"에 대해 얘기할 수 있다. (이 "지배(Government)"라는 개념은 x' theory (x-bar 이론)을 안다는 것을 전제한.. 2020. 5. 30. [언어학] 의미론 6. 참여자 4, 5, 6단원에 걸쳐 문장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는데, 문장이 나타내는 "그림"이 있고, 이 그림에 대해 분석하는 게 문장의미에 대한 주된 접근 방식이다. 6단원에서는 '참여자(participant)'에 대해 알아볼 것인데, 이는 그림을 형성하는 데 참여하는 대상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그리고 이 참여자들은 각자가 역할을 갖고 있다고 보는데, 그게 바로 "의미역(thematic role)"이다. 6단원의 전반부는 이 의미역에 대해 다룬다. 의미역의 종류 Andrew(1985), Radford(1988), et al 의 의미역 분류 AGENT: 행위를 시작하는 사람.(initiator of action) 동시에 행위에 대한 의지를 갖고 있어야 한다. PATIENT: 어떤 행위의 영향을 받는 개체, 상태의 .. 2020. 5. 27. [언어학] 의미론/ 3. 단어 의미 lexical semantics(어휘 의미론) 언어 내 각 단어들의 의미와 단어 의미들이 서로 어떻게 연관되는 지에 대해 연구. 의미간의 관계 syntagmatic relation(통합적 관계): 주변 단어들과의 관계 pradigmatic relation(계열적 관계): 대체 가능한 단어들과의 관계 이 통합적/계열적 관계가 있는 단어들 사이에는 어떤 의미적 관계가 존재한다. 통합적 관계는 문장에서의 기능, 계열적 관계에서는 의미 범주 또는 속성과 연관이 있는 듯하다. word2vec기법은 이러한 의미 관계들을 바탕으로 학습하고 응용하는 것 같다. 1) My bank manager has just been murdered. 2) My bank manager is dead. [entailment]->'mur.. 2020. 5. 23. 반응형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