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어학

[언어학] 의미론 6. 참여자

by skyjwoo 2020. 5. 27.
728x90
반응형

4, 5, 6단원에 걸쳐 문장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는데, 문장이 나타내는 "그림"이 있고, 이 그림에 대해 분석하는 게 문장의미에 대한 주된 접근 방식이다. 6단원에서는 '참여자(participant)'에 대해 알아볼 것인데, 이는 그림을 형성하는 데 참여하는 대상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그리고 이 참여자들은 각자가 역할을 갖고 있다고 보는데, 그게 바로 "의미역(thematic role)"이다. 

 

6단원의 전반부는 이 의미역에 대해 다룬다. 

 

의미역의 종류

 Andrew(1985), Radford(1988), et al 의 의미역 분류

AGENT: 행위를 시작하는 사람.(initiator of action) 동시에 행위에 대한 의지를 갖고 있어야 한다. 

 

PATIENT: 어떤 행위의 영향을 받는 개체, 상태의 변화가 있다. 

 

THEME: 행위에 의해 이동이 일어나는 개체. 또는 그 위치가 묘사되는 경우

 

EXPERIENCER: 서술어에 의해 행위나 상태를 인지하고 있음, 그러나 행위나 상태에 대한 통제 능력은 없음.

 

BENEFICIARY: 수행된 행위로 인해서 혜택을 받는 개체(수혜자)

 

INSTRUMENT: 어떤 행동을 수행하거나 어떤 것이 유발되는 데 쓰인 방법이나 매개체, 도구

 

LOCATION: 어떤 상황이 일어나거나 존재하는 공간, 장소

 

GOAL: 어떤 대상이 움직임을 향하는 개체, 실제로 그러거나 은유적으로나

 

SOURCE: 어떤 대상이 움직인 출발점, 실제로 그러거나 은유적으로나

 

STIMULUS: EXPERIENCER에게 영향을 주는 개체

 

이 이외에도 ACTOR, FORCE, RECIPIENT라는 의미역을 쓰기도 한다. (학자들에 따라 다르다.)

ACTOR vs AGENT: ACTOR는 무생물도 포함한다. (의지가 없는)

FORCE: 무생물에 의한 것임을 강조, 어떤 상황을 야기하는 무생물(ex - wind). ACTOR에 포함될 수 있다. 

RECIPIENT: GOAL의 한 종류로 볼 수 있음. 이익을 챙기는 것과는 무관. 소유의 변화가 중요.

 

문법적 관계와 thematic roles(의미역)

의미역을 통해 문장 내 문법적 관계들(문장 내에서의 역할, 기능)에 대해 유추해 볼 수 있다. 

일반적인 연결 관계

주어 - AGENT

직접 목적어 - PATIENT/THEME

전치사 구 - INSTRUMENT

 

ex) Son kicked the ball.

Grammatical Relationship: NP V NP

Thematic Relationship: Agent     PATIENT

 

문법 관계(통사적 차원): 문장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화자의 의도에 따라 구조를 선택하여 가능

의미 관계(의미적 차원): 변하지 않음. 사전 속에 들어 있음. 서술어에 의해 결정됨

문법 범주: NP, VP같은 언어마다 다르다. 문법 범주와 문법 관계는 상당히 연관성이 있다.(구 구조 문법)

 

 

그러나 항상 평범한 방식으로 표현되는 것은 아니다. (의미역 생략, 또는 의도적으로 변화시킴(능동, 수동))

break는 보통 3개의 의미역을 동반한다. AGENT, PATIENT, INSTRUMENT. 그러나 어느 요소가 생략될 수 있다. -> default matching에서 벗어남. -> 다른 의미역이 주어가 된다. 

*영어의 경우 문장에서 주어가 항상 있어야 한다. 대부분 언어는 주어가 있다. 한국어는 원래 있으나 담화상에서 생략된 것.

 

ex1) John breaks the ice with an axe. -> AGENT가 주어

ex2) The axe boke the ice. -> INSTRUMENT가 주어

ex3) The ice broke. -> PATIENT가 주어, PATIENT는 전형적으로 목적어인데, 주어 자리를 채울 게 없으니 주어가 된다. 

 

 

 

universal subject hierarchy

 

AGENT, EXPERIENCER > RECIPIENT/BENEFICIARY> THEME/PATIENT> INSTRUMENT > LOCATION

 

언어 전체를 살펴보았을 때, 이 위계 구조를 통해 의미역을 알면, 문장 내 주어를 알 수 있다. 

만일 THEME/PATIENT의 의미역을 갖는 단어가 주어로 쓰인 문장이 해당 언어내에서 발견 되면. 이보다 위계적으로 위인 AGENT, EXPERIENCER, RECIPIENT/BENEFICIARY는 모두 주어 자리에 올 수 있다. 

 

위계에서 높은 자리에 차지하고 있을 수록 기본적인 주어로 등장할 가능성이 높다. 

 

 

 

Jakendoff의 의미역 tier 이론(1990)

tier이론을 이해하기 위해선 촘스키의 theta criterion에 대해 알아보아야 한다. 

의미역 설정에는 문제가 있다. 하나의 NP에 2개의 의미역이 설정될 수 있다. 이게 왜 문제냐하면, 촘스키의 theta criterion를 위반하기 때문이다. 

 

theta criterion은 문장 내 하나의 NP(or PP)에는 하나의 의미역이 할당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음 문장을 살펴보자. 

ex) The diver dives into the deep ocean.

여기서 the diver의 의미역은 무엇일까? 의지를 가지고 행위를 하니 agent라 볼 수 있고, 이동이 있었으니 Theme이라고도 볼 수 있다. 즉, 2개의 의미역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해 Jakendoff는 tier 이론을 제안한다. 다음과 같은 두 tier를 상정하는데, 

action tier: ACTOR, AGENT, EXPERIENCER, PATIENT, BENEFICIARY, INSTRUMENT

thematic tier: THEME, GOAL, SOURCE, LOCATION

 

2개의 의미역을 갖는 경우는 이 두 개의 tier에서 각각 하나씩 가져와 2개의 의미역을 가질 수 있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렇게 되면, 촘스키의 theta criterion을 만족시키면서 동시에 2개의 의미역을 갖는 대상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위 예시를 다시 살펴보면, 

The diver는 action tier에서 AGENT를 하나 가져오고, theatic tier에서 THEME을 하나 가져온 것이다. 

 

 

동사와 thematic role grid

동사는 어떤 의미역과 함께 나타나야 하는 지에 대한 정보가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이는 사전에 기록되어야 할 정보이다. 

 

->Wiliams: theta grid를 제안.

theta grid는 동사 내에 문장에서 있어야 할 의미역에 대한 제약조건을 표현한 것이다.

ex) put: <AGENT, THEME, LOCATION> : 'put'이라는 동사는 주어(밑줄)인 AGENT를 필요로 하고 THEME과 LOCATION이 와야 한다. 이 AGENT와 THEM, LOCATION을 argument(논항)이라 한다. 

 

Argument vs. adjunct(participant roles vs non-participant roles)

Argument와 adjunct의 차이는 문장 내에서 필수적인 요소 여부이다. 이는 theta grid에 들어있는 지 여부에 따라서도 확인해 볼 수 있다. 

 

theta에 들어가 있는, 문장 내 필수적인 요소인지 확인하는 방법->문장 비교, 비문 체크

ex1) *He put the book.

ex2) He read the book.

-> put의 theta grid 내의 LOCATION 의미역을 할당할 PP가 없기에 1번 문장이 비문이 된 것.

 

ex1) ?In the bathroom James put a book.

ex2) In the bathroom James read a book.

-> In the bathroom을 앞으로 올렸을 때, 1번 예문은 어색하게 느껴지는 데 이 역시 theta grid 내의 요소(argument)여부이기에 위치 역시 자유롭게 이동하지 못하는 모습이다. 반면, read의 theta grid 내에는 LOCATION이 argument가 아니기에 (adjunct, 부가적인 요소) In the bathroom이 앞으로 이동 가능한 것이다. 

 

 

의미역으로 동사 분류가 가능하다. 어떤 의미역을 허용(필요)하는 지에 따라.

 

thematic roles를 찾아야 하는 이유, 연구하는 이유

1) 문법적 관계와 의미역 사이에 연관성을 추측해볼 수 있다. -> 문장의 주어, 목적어를 찾을 수 있다.

2) 동사를 의미역을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3) 문법 과정(구 구조 형성 과정)을 예측할 수 있다.

ex1) She tapped the can against the window.

ex2) She tapped the window with the can.

tap : <AGENT, INSTRUMENT, LOCATION>

         NP       NP              PP

       <AGENT, LOCATION, INSTRUMENT>

        NP         NP             PP

tap과 같은 몇몇 동사들은 위와 같이 의미역의 순서를 바꾸는 것을 허용한다. 

 

4) 형태론적 규칙을 설명할 수 있다. 

어떤 언어는 의미역에 따라 어떤 형태소가 올 지 결정되기도 한다. 

 

->이에 대해 이야기 하기 위해서 언어 유형에 대해 좀 더 살펴보자. 

언어를 분류하는 기준으로 자동사의 주어를 어떻게 결정하는 가를 살펴볼 수 있다.

accusative language: 타동사의 주어가 자동사일 때에도 주어가 된다.

- A 자동사

- A 타동사 B

 

ergative language: 타동사의 목적어가 자동사일 때 주어가 된다.

- B 자동사

- A 타동사 B

 

active language: 타동사의 주어, 목적어 둘 다 주어가 될 수 있으며, 이는 의미역에 의해 결정된다.(의미역에 따라 형태가 결정됨, 타동사에서의 목적격 형태 또는 타동사에서 주격 형태)

- (A or B) 자동사

- A 타동사 B

Dowty의 Prototype 기반 의미역 구분

Dowty는 Agent 중에서도 더 Agent같은 proto-patient가 있고, Patient 중에서도 더 patient같은 proto-patient가 있다고 보았다. 이를 통해  의미역 구분을 좀 더 단순화 시키고자 하였다.

 

어떤 대상이 prototype에 가까운 지는 다음 속성들에 의해 결정된다. 

Agent의 proto-role 기준

-어떤 상태나 행위에 대한 의지

-상황에 대한 경험 혹은 인지 여부

-다른 참여자(participant)에 대하여 사건이나 상황의 변화를 야기하는가

-다른 참여자(participant)에 비해 움직임이 있었는가

 

Patient의 proto-role 기준

-어떤 상태 변화를 겪었는가.

-증감 여부를 관찰 가능한가.

-다른 참여자(participant)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다른 참여자(participant)에 비해 정적인가.

 

Voice(태)

Active, Passive, Middle

태에 대해서도 의미역으로 설명할 수 있다.

 

passive: Non-AGENT를 promote하고, AGENT를 demote한다. (주어자리로 격상하거나(PATIENT가 AGENT자리로), PP자리로 격하된다.(AGENT가 뒤로))

ex1) John kicked the ball.

ex2) The ball was kicked by John. (the ball이 주어 자리로 격상, John이 PP자리로 격하)

 

impersonal passive: AGENT가 문장에서 언급되지 않은 경우.

- transitive impersonal passive: Irish, 타동사인데 수동태, 주어가 없다, 능동문의 주어를 목적어로 받는다

- intransitive impersonal passive: Dutch, German, Welsh, Latin, 자동사인데 주어가 없다. 주어 자리는 허사가 채움

 

Middle(중간태)

동사의 형태를 봤는데 능동태, 근데 주어를 봤더니 Patient

중간태 특징: 동사의 주어가 동사에 의해 묘사된 행동에 영향을 받는다.(affectedness)

 

affectedness 종류

-neuter intransitives: 주어가 의지가 없는 절차를 거치거나, 상태 변화를 겪는다.

-bodily acivity & emotion: 행동이 주어의 신체나 감정과 관련 있다. 

-reflexives: 주어의 행위가 주어 자신에게 영향을 주거나 주어의 소유물 또는 신체 일부에 영향을 준다. 

-autobenefactives: 주어의 행위가 주어 자신의 이익을 위해 이뤄진다.

 

 

marking(표현 방법)

-verbal inflection(동사의 굴절, 활용)

-pronouon(대명사)

-construction(문장 구조)

 

 

 

 

Classifiers(분류사)

 classifier만 보아도 participant가 어떤 대상인지에 대한 정보를 주는 언어가 있다. 

 

-Numeral classifiers

->한국어의 세 권, 강아지마리, participant에 따라 다른 수 분류사가 쓰인다. 

 

-Possessive classifiers

-> 예를 들자면, 나 음료수, 나 강아지, participant에 따라 다른 수 분류사가 쓰인다. 어떤 언어에선 이러한 소유격 표지('의'가 participants에 따라 다르게 쓰인다.) 

 

-Verbal classifiers

-> 동사에 목적어로 오는 participant에 따라 다른 어미가 붙는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