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earle2

[언어학] 화용론. 간접화행 식당에서 따뜻한 물이 나왔는데, 차가운 물을 먹고 싶다고 하자. 직원에게 차가운 물을 주문(요청, 요구)할 때 어떻게 말할까? "차가운 물 주세요. " 라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여기 차가운 물 있나요? " 하고 말할 수도 있다. 직접화행, 간접화행 일반적으로 요청 및 요구 화행은 '명령문'과 함께 수행된다. 그러나 위 예시처럼 '의문문'의 형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는데, 이를 간접화행(indirect speech act)라고 한다. 서얼은 이러한 간접화행이 어떻게 해석되고, 어떻게 생성할 수 있는 지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럼, 간접화행이란 건 알겠는데, 그럼 '직접화행'이란 개념도 있지 않을까? '직접화행'은 문장의 형식(sentence type)과 그 형식에 따른 무표적인 의도가 일치되는 화행 또는 .. 2020. 11. 28.
[언어학] 화용론. 화행(Speech Act) 화행이란? 말 그대로 해석하면, 말이 뭔가 행동을 한다는 뜻인데, 잘 와닿지 않는다. 말이 무언갈 행한다 하면 어떻게 행할까? 결혼식장에서 하는 맹세나 사장이 직원에게 하는 해고 선언(명령?). 실제 효력은 문서와 절차에 따른다 해도, 우리는 말이 어떤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화행(Speech Act)'이라고 명명한 것이 아닌가 싶다. 배경 의미론에서 주로 다루는 분야는 문장의 참과 거짓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진술문'에서 잘 드러난다. 이 진술문에 대한 연구는 언어학 분야에서 꾸준히 이뤄져 왔지만, 다른 유형인 '수행문'은 잘 이뤄지지 않았다. 화행이론은 이 '수행문'과 '진술문'의 구분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수행문 vs 진술문 진술문은 문장의 참, 거짓을 따질 수 있어야 .. 2020. 11.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