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02 norm(노름) 오늘 다룰 내용은 norm(노름)이다. 왜 '노름'이라고 이름을 부르는 지는 잘 모르겠다. '놈, 놂'이란 용어가 이상해서 인가... 언어적 기원을 따져보면, 라틴어에서 왔으며, 지침, 규칙, 목수의 직각자(?)가 어원이라 한다. 이를 통해 추측해볼 수 있는 의미는 '어떤 대상에 대한 기준' 정도가 될 것 같다. 이러한 의미에서 살펴보면, 행렬(또는 벡터)에 있어서 norm(노름)은 행렬이나 벡터에 대한 기준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고, 행렬이나 벡터의 크기를 말하는 데 이는 원소의 개수(size)가 아닌, 다른 크기를 가진 행렬이나 벡터들을 하나의 기준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한 크기이다. 영어로는 'magnitude '가 그 의미에 가깝다고 볼 수 있는데, 이를 좀 더 풀어 써 보자면, 다른 행렬이나 벡.. 2020. 3. 26. 컴퓨터 용량 단위(SI prefix, Metric prefix) 컴퓨터 관련 수업을 듣다보면, 혹은 컴퓨터와 관련해 공부하다보면 자주 마주하게 되는 용어들이 있다. 굳이 컴퓨터가 아니더라도 자주 볼 수 있는데, 최근에 컴퓨터 수업을 들으면서 이정도는 기본으로 알지? 하시기에, 그럼에도 나는 잘 몰랐기에 한 번 정리해보자 한다. 이 글에서 할 얘기는 바로 단위에 대한 이야기이다. 비트, 바이트, 킬로바이트, 메가바이트, 테라바이트,,, 컴퓨터에서 자주 보이는 단위들이다. 언어학적인 관점에서 좀 더 구분해서 보자면, 기본 단위인 바이트에 접두사가 붙는 꼴이다(킬로-, 메가-, 테라-). 결국 이 접두사가 의미하는 바를 알아야 단위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 접두사를 Metric prefix, SI prefix라고 부른다. 찾아보니 모든 단위에 붙고, 국제 표.. 2020. 3. 22. 네이버 웹툰 베스트 댓글 크롤링-3 원래 2편 정도로 끝내려 했는데 3편까지 오게 되었다. 3편에서는 본격적으로 코드를 살펴보며 크롤링을 진행하고자 한다. 먼저 2편에서 chrome driver와 selenium, bs4 패키지 설치가 되었다면 다음과 같은 모듈들을 import 해 잘 설치가 되었는지 확인한다. import os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from selenium import webdriver #import requests #request+bs4 조합만으로도 crawling가능 import time 여기까지 별 이상이 없다면 이제 크롤링을 위한 준비물은 다 챙긴 것이다. base_url = 'https://comic.naver.com/webtoon/weekday.nhn' #chrome_dirver.. 2020. 3. 2. 네이버 웹툰 베스트 댓글 크롤링-2 2편에서는 크롤링 코드 작성 이전 준비 단계이다. 필요한 준비물들을 챙기고 사전 조사 해야 할 것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언어는 파이썬, 환경은 주피터 노트북을 이용했다. selenium, BeautifulSoup 모듈이 사용되기에 설치돼 있어야 한다. 또한 chrome driver 역시 필요하다. chrome driver는 여기서 다운 받으면 된다. 크롬 드라이버 설치 클릭 후 나오는 창에서 자신의 OS에 맞는 드라이버를 다운 받아 압축을 풀어준다. selenium, BeautifulSoup 패키지 설치 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을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커맨드를 입력해 준다. !pip install selenium # selenium package 설치 pip install bs.. 2020. 3. 1. 네이버 웹툰 베스트 댓글 크롤링-1 필자가 파이썬을 배우고 난 후 가장 처음 해 본 프로젝트가 크롤링이었다. 지금은 웬만큼 익숙해 져서 크롤링 코드를 짜는 데 그리 오래 걸리지 않게 되었다. 그냥 무작정 코드를 따라하는 것보다 기본적으로 어떤 원리로 동작하는 지에 대한 배경 지식이 있다면, 그저 코드를 따라하는 것을 넘어서 자신만의 크롤러를 만드는 데에도 도움이 될 거라 생각된다. 따라서 1편에서 먼저 기본 개념과 작동 원리에 대해 설명한 후에 2편에서 준비 사항, 3편에서 코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크롤링을 위해 필요한 기본 개념 우선, 크롤링이란, crawl: 기어간다. 라는 뜻인데, 거미와 거미줄의 비유를 생각해보면 되겠다. 우리가 인터넷을 'web'이라 부르는 것처럼 거미줄을 떠올려 보면 그 web을 기어다니며 정보를.. 2020. 3. 1. positional encoding이란 무엇인가 Transformer model을 살펴보면, positional encoding이 적용된다. 다음 그림은 transformer 모델에 대한 구조도 인데, positional encoding을 찾아볼 수 있다. 출처는 https://www.tensorflow.org/tutorials/text/transformer 이다. transformer 모델에 대해 공부하면서, 가장 이해가 안 갔던 부분이 이 positional encoding이었는데, 한 블로그를 통해 이해에 도움을 얻을 수 있었다. 해당 블로그는 다음 링크를 통해 들어갈 수 있으며, 본 포스팅은 해당 블로그의 글에 대한 약간의 번역과 필자의 이해가 담겨있다. https://kazemnejad.com/blog/transformer_architectu.. 2020. 2. 20. 반응형 이전 1 ··· 12 13 14 15 16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