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어학

[언어학] 화용론. 적합성 이론

by skyjwoo 2020. 10. 17.
728x90
반응형

 

1. 적합성 이론이란

적합성 이론은 고전 그라이스 화용 이론에 대응 또는 발전된 이론으로 인간의 인지 체계가 적합성(relevance)을 최대화하면서 의사소통한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전개된 이론이다. 적합성 이론은 인지적 원리와 의사소통적 원리라는 2개의 측면에서 기술될 수 있다. 

 

1) 적합성의 인지적 원리

적합성(relevance)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요소에 의해 작동한다.

  1. 인지적(문맥적) 효과: 새로 들어온 자극과 기존 인지 체계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결과물
  2. 처리 노력: 입력 값에 대한 만족스러운 처리에 드는 비용

이 두 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적합성의 정도를 예측해볼 수 있다. 

 

개인에 들어오는 입력값에 대한 적합성 측정

  1. 다른 요소가 똑같을 때, 인지적 효과가 클수록 그 개인에게 들어오는 입력값에 대한 적합성이 더 커진다. 
  2. 다른 요소가 똑같을 때, 처리 노력이 클 수록 그 개인에게 들어오는 입력값에 대한 적합성이 더 작아진다. 

즉, 개인에게 들어오는 적합성은 $\frac{인지적 효과}{처리 노력}$ 으로 볼 수 있다. 

 

인지적 효과는 다음과 같은 3 종류로 볼 수 있다.

  1. 새로운 정보와 기존 정보를 합하여 결론을 내린다. 이를 문맥적 함축이라 한다. 
  2. 기존에 존재하는 가정을 강화한다. 
  3. 기존에 존재하는 가정과 반박하고 제거한다. 

2) 적합성의 의사소통적 원리

의사소통 모델

i) code 모델: 의사소통을 화자의 encoding과 청자의 decoding 과정으로 본다. $\rightarrow$ 언어는 coding, decoding 이상이 필요하다. 문맥에 대한 이해, 배경 지식에 대한 이해 등. 언어학적 미결정성이 그 증거

ii) 추론 모델: coding 뿐만아니라 화자의 의도를 청자가 추론하는 상호작용이 곧 의사소통이다. 

 

ostensive inferential communication(지시적 추론 의사소통)

i) 정보적 의도(informative intention)

청자에게 무언가를 알려주려는 의도

 

ii) 의사소통적 의도

청자에게 정보적인 의도를 알려주려는 의도

 

여기에는 지시적 자극(ostensive stimulus)이 있다. 이는 어느 정도의 적합성 정도에 대해 기대하게 하는데, 이 때의 적합성을 최적 적합성(optimal relevance)이라 한다. 

 

최적 적합성의 전제(presumption of optimal relevance)

i) 지시적 자극은 청자의 처리 노력 만큼 적합하다.

ii) 의사소통자(화자)의 능력과 선호와 양립가능한 것 중 가장 적합한 대상이다. 

 

적합성의 의사소통적 원리

모든 지시적 자극(예: 발화)은 최적 적합성을 전제한다. 

 

적합성 이론적 이해 절차

i) 인지 효과를 계산함에 있어 가장 노력이 덜 드는 과정을 따른다: 접근 가능한 순서에 따라 해석 가능한 가설들을 검증한다.(중의성 해소, 지시체 해소, 함축 등)

 

ii) 적합성에 대한 기대가 충족되거나 버려지면 중지한다.  

2. 외축, 함축, 개념적 의미 vs 절차적 의미

1) Grice: 말한 것 vs 함축된 것

말한 것

i) 발화된 문장 중 고정 함축을 제외한 고정적 의미

ii) 발화된 문장 중 진리조건적 명제 내용

 

(대화) 함축된 것

말한 것에 기반하여 계산된다. 말한 것 $\rightarrow$ 함축된 것

 

말한 것에 대해 다루기 위해선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쳐야 한다. 

i) 지시체 해소

ii) 직시 고정

iii) 중의성 해소

 

2) 외축(explicature, explicit content)

외축이란 발화에 의해 암호화된 불완전한 개념적 표현이나 논리적 형태 중 하나에 대한 추론적 전개를 말한다.

즉, 발화된 문장의 불완전한 논리적 형태를 명제 내용으로 산출해내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제시하는 외축에서는 다음에서 설명할 5가지 분야를 말한다. 

 

i) 중의성 해소

특정 언어 체계 내에서 2개 혹은 그 이상의 잠재적 sense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말한다. 외축은 문맥에 의존한 특정 해석을 선택함으로써 불완전한 논리 형태를 완전하게 만든다. 

 

ii) 지시체 해소

지시체 후보들은 언어 체계 내에서 결정되지 않는다. 적절한 문맥과 관련성 있는 지시적 표현, 대용어들을 통해 지시체가 할당되는 것을 말한다. 

 

iii) 채워넣기, 보충(saturation)

언어적으로 해석된 논리 형태 내의 자리, 위치, 변수가 채워지게 되는 화용론적 처리과정을 말한다.

 

iv) 자유로운 의미 보충 

지시체 해소나 채워넣기 작업이 필요한 부분들이 없더라도 개념적인 보충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적합성 이론에서는 2가지 의미 보충이 다뤄진다. 

 

a) 발화 내 특정 어휘와 그 어휘가 암호화 하는 내용에 대한 의미 보충

ex1) James has a brain $\rightarrow$ James has a [scientific] brain.

 

b) 문맥에 의해 추가되는 개념적 구성소(constituent)

모든 사람이 붉은 색 옷을 입고 있었다. $\rightarrow$ (경기장에 있는)모든 사람이 붉은 색 옷을 입고 있었다.

 

위 두 가지 경우(a, b) 모두 의미적으로 좁히거나 구체화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v) 임시적 개념 구성

이뤄진 언어적으로 해석된 논리 형식 속 어휘 개념에 대한 화용론적으로 조정을 말한다. 여기서 조정은 개념의 범위를 좁히거나 강화하거나 넓히거나 약화시키는 혹은 이들의 조합이다.

 

vi) 상위, 고차 외축

고차 외축은 고차원적인 표현 하의 발화의 명제적 형태를 삽입하는 것과 관련돼 있다. 

고차원적인 표현은 명제적 태도와 관련된 표현, 화행 표현, 증거성과 관련한 표현들을 포함한다. 

 

*비 고차원적인 외축은 기본 외축이라 불린다. 

 

수잔: 내 남편은 요즘 계속 술만 마셔.

$\rightarrow$ 수잔은 그녀의 남편이 계속 술만 마신다고 믿는다.

$\rightarrow$ 수잔은 그녀의 남편이 계속 술만 마셔서 화가 나 있다.

 

기본적으로 화자와 관련되어 있다. 문장에 화자를 넣어 해석하여 추가적인 의미를 끌어낸다. 문장 자체의 단순한 차원에서 벗어나 화자(의 태도)라는 차원을 추가하여 해석한다.

3) r-함축

적합성 이론에서 말하는 함축을 r-함축(relevance implicature)라 한다. 외축과 함축의 차이점은 외축이 문장을 해석(decode)하고 추론하는 과정인 반면, 함축은 추론 과정만을 의미한다. 

 

적합성 이론에서 언급되는 두 종류의 함축은 다음과 같다.

i) 함축된 전제: 화자에 의해 의도된 수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문맥적 가정.

ii) 함축된 결론: 화자가 전달한 문맥적 암시.

 

ex1)

A: 북유럽 여행갈 래?

B: 물가 비싼 데는 좀 그런데...

 

함축된 전제: 북유럽은 물가가 비싸다

함축된 결론: B는 북유럽 여행 가는 것이 별로다.

 

ex2)

A의 친구 몇 명은 토트넘 광팬이다.

함축된 전제: ?

함축된 결론: A의 모든 친구가 토트넘 광팬은 아니다. 

 

적합성 이론에서 함축된 전제와 결론을 중심으로 하는 방법은 특수 대화 함축에 잘 적용되지만 일반 대화 함축에는 잘 적용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적합성 이론에 기반한 이해 과정

외축 $\rightarrow$ 함축된 전제 $\rightarrow$ 함축된 결론

 

강한 r-함축과 약한 r-함축

강한 r-함축: 화자의 의도를 이해하기 위해 꼭 필요한 함축.

약한 r-함축: 화자의 의도를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하지는 않은 함축. 

r-함축되는 내용이 여러 개 있을 수 있기에 이 중에 강하고 약한 정도가 있을 수 있다.

 

철수: 수잔이 너한테 빌린 돈 갚았니?

영희: 아니, 은행 가는 걸 까먹은 거 같아.

r-함축

a. 수잔은 은행에 가는 것을 까먹어서 영희 돈을 갚을 수 없었다.

b. 수잔은 다음에 은행에 갈 때 빌린 돈을 갚을 거야.

c. ...

...

 

a가 강한 r-함축이다. 이는 a가 강한 함축이 아니라면 영희의 대답은 (철수의 물음에 대해) 적절하지 않다(적합성이 떨어진다.). 

b가 약한 r-함축인 이유는 b의 함축이 확실한 게 아니고 위의 대화에서 꼭 필요한 게 아니기 때문이다. 

3. 적합성 이론 vs 그라이스의 고전/신이론

적합성 이론 그라이스 고전/신 이론
인간의 본질적인 인지에 대한 일반적인 관점에 기반함. 
인간의 인지 능력의 자동적인 반사 작용이다. 
그들은 원리를 따르는 게 아니다. 
적합성은 무의식적인 추론이다.
그라이스: 화자는 자동적으로 어떤 기대를 제시하고, 이 기대가 수용자로 하여금 화자의 의도로 향하도록 이끈다. (협동의 원리와 하위 격률들)
인간의 이성적인 본성과 목표지향성을 중요시하였다.
그리고 이는 모두 학습된 것이다.
외축과 함축을 구분함. 지시체가 확인되고 직시가 해석되며 중의성이 해결되어야 명제 내용을 밝힐 수 있다. 언어적, 문맥적 해석을 통해 명시적인 명제 내용의 복원(적합성 이론의 외축이 하는 역할)이 가능하다.(그라이스)
외축은 함축과 같다.(레빈슨)
발화 토큰 의미를 강조. 유형의미를 토큰 의미의 하위 범주로 봄. 
토큰 의미는 개개인에 중점을 둔다. 
문장 유형 의미: 흔히 말하는 의미, 사전 속 의미, 문장의 뜻, 진리값
발화 토큰 의미: 개개인에 따른 의미
발화 유형 의미: 일반화된 개개인의 의미, 철수가 발화하는 시점에 철수는 '화자'가 된다.

특수 대화 함축보다는 일반 대화 함축을 주로 다루며 본질적으로 발화 유형 의미에 대한 이론이라 할 수 있다.
대화 함축이나 문맥을 구분하지 않음. r-함축 일반 대화 함축과 특정 대화 함축을 구분함.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