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어학

[언어학] 화용론. 대화함축2

by skyjwoo 2020. 10. 16.
728x90
반응형

 

신 그라이스 이론

1. 배경

고전 그라이스 이론(이전 대화 함축 글에서 설명한)의 협력 원리나 격률들에 대해 좀 더 간소화 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뤄졌다. 혼(Horn)이나 레빈슨(Levinson)이 대표적이며, 이번엔 그들이 어떻게 그라이스 이론을 발전시켰는 지 살펴보고자 한다. 

 

2. 혼 시스템

1) Q-원리, Quantity principle

-대화에 충분히 기여하여라.

-R-원리가 적용되었다 가정하고 말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말하여라.

$\rightarrow$ Q-원리는 양의 격률-1, 태도의 격률-1,2를 포함한다.[각주:1]

 

2) R-원리, Relation principle

-당신이 대화에 하는 기여가 중요하도록 만들어라.

-Q-원리가 적용되었다 가정하고 필요 이상으로 말하지 마라.

 

 

3) 원형 Q-/Horn-등급

$\rightarrow$ 화자가 ...p...라고 말했을 때 ...최대 p...임을 대화 함축한다. 그리고 이는 원형 Q- 또는 Horn-scale 에서 파생된 것이다. 

<S, W>가 Q-/Horn-scale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S는 의미적으로 strong한 표현, W는 weak한 표현을 의미)

1) 임의의 문장 A 내에서 A(S)가 A(W)를 함의한다. 

2) S와 W는 동등한 어휘화 정도를 가지며[각주:2] 되어 있고, 같은 어휘 군에 속하며, 같은 사용역을 갖는다. 

3) S, W는 같은 의미적 관계를 가지며, 같은 의미역에 속한다. 

 

ex1) <all, some>

ex2) <hot, warm>

ex3) <excellent, good>

 

ex4) *<iff, if>

ex4은 Horn-scale을 이루지 않는다. Horn-scale 조건 2에 의해 iff(=if and only if), if는 다른 어휘화 정도를 갖기 때문이다.

 

ex5) *<regret, know>

ex5는 Horn scale 조건 3에 의해 다른 의미적 관계를 갖기 때문에 Horn-scale이 아니다. regret은 감정과 관련, know는 인식과 관련되어 있다.

 

ex6) *<(p because q), (p and q)>

 

4) Q-함축

위의 Horn-scale로 다음과 같은 Q-함축을 이끌어 낼 수 있다. 

 

<excellent, good>

The team has a good squad this season.

+> The team does not have an excellent squad this season.

5) R-원리

화자가 ...p... 라고 말하면, ...p 이상... 인 내용을 함축한다. 

R-원리는 그라이스의 양의 격률-2, 관련성 격률, 태도의 격률-3,4를 전제한다. [각주:3]

 

ex1) James broke a finger yesterday.

+> The finger was one of James's

 

6) Zipf의 경제성으로 바라본, Q-/R-원리

Q-원리: 청자 지향적, 정보성 있는 내용의 최대화, 청자가 듣기 편하려면, 가능한 많은 내용이 담겨 있어야 한다. 

R-원리: 화자 지향적, 언어적 형태(linguistic form)의 최소화, 화자가 말하기 편하려면, 최대한 적게 말해야 한다. 즉, 필요한 말만 한다. 

 

Horn은 이 두 원리가 동시에 작용하면서 그라이스가 제안한 화용론적 체계가 작동한다고 보았다. 

 

7) Horn의 화용론적 작업 분담

유표적 표현(더 장황하고, 더 복잡한 표현)이 이에 상응하는 무표적 표현(덜 과장된, 쉬운 표현)이 존재함에도 쓰였을 때, 유표적 의미를 전달하는 경향이 있다고 본다. 

 

 

3. 레빈슨 시스템

레빈슨은 Q, I, M 원리를 제안하였는데, 각각의 원리에는 화자가 행할 격률과 청자가 행할 추론 원칙이 명시되어 있다. 

 

1) Q-원리

화자의 격률

해당 표현이 I-원리를 위반하지 않는 선에서 자신이 알고 있는 내용보다 덜 정보적인 내용은 제공하지 마라. 

 

수용자의 정리

화자가 자신이 아는 선에서 표현할 수 있는 최대의 정보성을 가진 표현을 했다고 여겨라. 말하지 않은 것은 고려하지 마라.

즉, 

i) 화자가 A(W)를 말했을 때, (A는 sentence frame이고, W는 S보다 정보성이 약한 표현이며, <S, W>로 Horn Scale을 이룬다.), 화자는 A(S)가 거짓임(K~A(S)), (K=knows)을 알고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ii) 화자가 A(W)라고 말했을 때, A(W)의 삽입 절 Q에 대해 A(S)는 Q를 함의하고, A(W)는 Q를 함의하지 않으면, 청자는 화자는 Q의 진리치에 대해 모른다(~K(Q), 또는(P(Q), P~(Q)/ P = Possible))고 유추할 수 있다. 

 

Q-함축 유형

 

i) Q-scalar 함축: 가장 원형적인 Horn-scale을 떠올리면 된다. 

 

Q-scalar: <x, y>

y +> Q-scalar ~x

 

ii) Q-clausal 함축: 존재론적 불확실성에 대한 추론을 함축한다. 

Y(p)가 (Y(p)는 linguistic construction, 언어 요소의 집합) p를 함의하지 않고, 그 대안인 X(p)가 p를 함의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가 Y(p)와 동등다면, 의미적으로 약한 표현인 Y(p)는 p의 참 거짓 여부를 모른다는 것을 Q-함축한다.

 

Q-clausal: <X(p), Y(p)>

Y(p) +> Q-clausal p, ~p

 

ex1) <(p and q), (p or q)>

Mina is a soccer player or a basketball player.

+> Mina is perhaps a soccer player, or perhaps not a soccer player; perhaps a basketball player, or perhaps not a basketball player

 

$\rightarrow$ p and q라는 construction은 p와 q를 함의한다. p and q가 참이면, p도 참이고, q도 참이기 때문.

그러나 p or q가 참이여도 p는 참이지만 q가 거짓인 혹은 그 반대의 경우가 존재한다. 

 

ex2) <(since p then q), (if p then q)>

ex3) <necessarily p, possibly p>

ex4) <(know that p), (believe that p)>

 

iii) Q-alternate 함축

i) Q-ordered alternate: 정보성에 대한 순위가 존재.

<succeed, try>

...try... +> ...not succeed... 그러나 succeed가 try를 함의하진 않는다. 

 

ii) Q-unordered alternate: 정보성에 대한 순위가 없다. 모두 의미적으로 동등하다.

<boil, grill, stir-fry, ...>

...boil... +> ... not grill, stir-fry,...

 

메타언어적 부정

Q-함축의 특징 중 하나로 형태-통사적 형태나 음성적 실현, 문체, 사용역 또는 잠재적 함축에 대해 부정하는 장치이다.

특징

i) 부정문 + 교정절(rectifying clause)로 구성

ii) 이전 발화에 대한 답변으로서, 대상으로 하는 그 발화의 특정 양상에 대해 작동한다. 

iii) 진리조건적인 모순으로 표현된다. 

iv) 말할 때, 특징적인 억양의 변화가 관찰된다.

v) any와 같은 부정 극어를 허용하지 않는다.

vi) 부정 표현의 통합을 허용하지 않는다. (is not $\rightarrow$ isn't 불가) 

vii) 인용, 언급, 표현 용법이 실현된 것이다.

 

Q-함축의 취소

메타 언어적 부정은 Q-함축을 취소시킬 수 있다. 

의미적 함의의 불일치에 의해서도 Q-함축이 취소될 수 있다. 

 

ex1) ... isn't often ... , ... is always ...

뒤에서 정정된 always를 통해 isn't가 often을 부정하는 것이 아닌 often이 함축하는 not always를 부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메타 언어적 부정에 의한 취소)

 

ex2) ... is often ... , in fact, is always ...

뒤에 나오는 always라는 문맥에 의해 often이 함축하는 not always가 취소 되었다. (문맥에 의한 취소)

 

 

2) I-원리

I 함축

I-scale: [x, y]

y +> I x

 

화자의 격률: 최소화의 격률, 필요한 것만 말하라. (Q-원리가 적용되었다는 전제하에)

 

수용자의 정리: 강화의 원리, 화자의 원리에서 정보적인 내용을 최대화 하여라.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것들은 전형적인 내용이거나 콕 집어 예시를 든 것이다. 

 

i) 묘사된 상황, 사건 속 시간 관계, 원인 결과 관계, 지시 관계를 우리가 당연시 여기는 것들와 합치된다고 가정하여라.

ii) 지시체와 사건들이 i)이 합치되지 않는 이상 전형적인 관계를 갖는다고 가정하여라

iii) 언급된 개체들을 늘리는 해석을 피하여라, 특히 축약된 명사 구에서의 공지칭을 선호하여라.

iv) 우리가 당연시 여기는 것들과 문장에서 말한 것이 합치된다면 그 문장의 내용의 존재와 실재에 대해 가정하여라.

 

I-함축의 속성

I-함축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몇몇 속성들을 공유한다. 

i) 더 자세한 해석을 얻는다. 

ii) Q-함축보다 긍정적이다. (함축문이 긍정문이다. Q-함축은 대부분 부정문이었음.)

iii) 전형적인 가정들에 의해 추출된다. 

iv) 메타 언어적이지 않다. 이는 말해졌어야 하지만 말하지 않은 것에 대해 지칭하지 않기 때문이다.

v) 메타 언어적 부정으로 취소되지 않는다. (함축의 내용을 부정할 수 없다.)

 

3) M-원리

Levinson의 M-원리

화자의 격률: 일반적이지 않거나, 전형적이지 않은 상황은 유표적(marked) 표현을 일반적인 상황에 대해선 무표적(unmarked)인 표현을 사용하라. (해당 상황을 나타내는 유표적 표현과 이에 대응하는 무표적 표현이 존재한다고 가정할 때.)

즉, 아무 이유 없이 유표적 표현을 쓰지 마라.

 

수용자의 정리: 평범하지 않은 표현이 쓰였으면, 화자가 평범하지 않은 상황을 나타내려 했음을 인지하라. 유표적 표현으로 쓰인 표현은 이유가 있다.

 

M-함축

M-scale: {x, y}

y +> M~x

 

y가 유표적 표현, x가 무표적 표현

유표적 표현은 무표적 표현이 나타내는 해석이 아닌 다른 해석을 나타낸다.

4) Q-, I-, M-원리의 상호작용

Q-, I-, M- 원리의 상호작용에 대한 Levinson의 해결 방안

a. Q > M > I (항목별 우선 순위)

b. Q-clausal > Q-scalar (종별 우선 순위)

 

더 높은 우선 순위에 있는 원리가 하위 원리를 취소 시키고 우위를 갖는다.

 

만약 철수가 너에게 자동차를 크리스마스 선물로 사준다면, 그건 진짜 자동차일지도 몰라. 

Q-clausal <(since p, q) , (if p q)>

+>자동차는 진짜일 수도, 장난감일 수도 있다.

I [car for Christmas]

+>자동차는 장난감 자동차이다. 

 

Q>I 우선순위에 의해 +>자동차는 진짜일 수도 있다. 라는 함축이 I-함축을 압도한다.

 

5) 함축 취소 절차

함축은 다음과 같은 요소들에 의해 취소될 수 있다. 

i) 의미론적 함의

ii) 배경 가정

iii) 문맥

iv) 대화 함축의 우선 순위

v) 메타 언어적 부정에 의한 Q-함축 취소

 

Gazdar이라는 학자에 의해 일반적인 함축 절차가 제안되었다. 다음과 같은 내용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취소될 수 있다. 

함축 취소 절차

i) 배경 가정

ii) 문맥

iii) 의미론적 함의

iv) 대화 함축

   a) Q-함축
     a1) Q-clausal 함축

     a2) Q-scalar 함축

   b) M-함축

   c) I-함축

 

6) 고정 함축

'+>>' 로 표현, 특정 어휘나 언어적 구조체(linguistic construction)에 고정되어 진리값과 관계없이 추론될 수 있는 함축

주로 접속사가 많은 듯하다. 

ex1) p therefore q +>> q follows from p

ex2) p but q +>> p contrasts with q

ex3) Even p +>> contrary to expectation

7) 고정함축 vs 대화함축

공통점1: 진리 조건에 어떤 기여도 하지 않는다. 

 

ex1) 우리는 이기고 있다. 하지만 그들은 지고 있다. 

ex2) 우리는 이기고 있다. 그리고 그들은 지고 있다. 

 

진리 조건 상에서 두 발화는 차이가 없다. 바뀐 것은 '하지만', '그리고' 이 접속사 뿐이다. 따라서 이 접속사는 진리조건과 관계 없다.

 

공통점2: 명제나 문장 보다는 화자와 발화 즉, 문맥과 더 관련이 깊다. 위의 진리 조건에 기여하지 않는 것과 사람에 따라 다른 표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추해볼 수 있다.   

 

차이점1: 고정 함축은 협력의 원리와 하위 격률들에 의해 도출되지 않는다. 특정 어휘나 표현 자체로서 도출된다.

 

차이점2: 계산 불가능 vs 계산 가능, 고정함축은 자연적인 절차에 의해 도출되지 않는다. 고정적으로 주어지며 해당 문화나 언어에 의해 임의적이며 관습적이다. 반면 대화 함축은 원리, 문맥, 배경지식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차이점3: 취소 가능 vs 취소 불가능, 해당 표현 자체에 함축이 고정되어 있기에 취소될 수 없다. 

 

차이점4: 분리 가능 vs 분리 불가능, 어떻게 보면, 의미가 아닌 언어적 형태(linguistic form)에 부착된 것이기에 형태가 바뀌면 의미도 바뀐다. 

 

차이점5: 비보편적 vs 보편적, 고정 함축은 보편적이지 않은 경향이 있는 반면, 대화 함축은 여러 언어, 문화에서 보편적이다

 

 

의미(non-natural) 말해진 것

-말해진 것    
  -함축된 것 -고정 함축  
    -대화 함축 -일반 대화 함축
      -특정 대화 함축

 

 

  1. 충분한 양의 정보를 제공하여라, 애매하고 모호한 표현을 피하여라. [본문으로]
  2. 어휘화 정도란 전자렌지(microwave)라는 단어가 microwave oven에서 microwave로 변화한 것처럼 단일어 형태로 변화된 정도를 말한다. [본문으로]
  3. 필요 이상의 너무 많은 정보를 전달하지 마라, 관련성 있는 내용을 말하라, 간단하고, 순서에 맞게 말하여라. [본문으로]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