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01

[언어학] 화용론. 직시(deixis) 직시(deixis)란 무엇인가. 'deixis'는 그리스어로 'reference'라는 의미라고 한다. 이 의미가 화용론에서 적용되기 위해선 '문맥'과 연관지어 보면 되겠다. 어떤 대상을 가리키긴 하는데, 문맥 속에서 가리키게 된다. 우리는 이 직시를 통해 시공간적 제약을 넘어 다른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으며, 이는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가능케 한다. 예를 들어 친구들과 게임을 하는 중에, 6시 방향에 적 발견, 나 스킬 쿨타임 남아서 30초 뒤에 잡으러 가자. 라고 한다면, '6시 방향(장소)', '나(사람)', '30초 뒤(시간)'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문맥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갖는다. '장소'는 보는 관점이나 화자나 청자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인칭 대명사 역시 화.. 2020. 12. 6.
끝말잇기의 고수 끝말잇기와 직업이 연관 있을까? www.youtube.com/watch?v=gH7sg5Gqe0w 최근 진용진이라는 유튜버의 영상 중에서 '끝말잇기'를 주제로 한 영상을 굉장히 재미있게 보았다. 국어학자와 화학자 간의 끝말잇기 대결이었는데, 화학 연구원 분이 이기시긴 했으나, 그 뒤에 나오는 끝말잇기 고수들의 대결이 정말 충격적이었다. 특히 고수들의 대결을 살펴보면, 어릴 적 했던 끝말잇기 온라인 게임의 어휘와는 완전히 다른 어휘들을 선보였다. 사용된 단어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국어학자와 화학자 사이의 대결에 사용된 단어들이다. 국어학자 vs 화학자 국카스텐 > 텐텐 > 텐미닛 > 닛케이지수 > 수산화나트륨 > 윰라대왕 > 왕성 > 성수 > 수산화칼륨 수명 > 명줄 > 줄넘기 > 기온 > 온스.. 2020. 12. 4.
개그의 기술 들어가며 유머는 우리 삶을 풍요롭게 해 준다. 힘든 일이 있을 때나, 아니면 일상 속에서 웃을 일이 있기에 힘이 나기도 한다. 누군가는 사람들을 이 유머 감각을 갈고 닦아 웃게 만드는 일을 직업으로 삼기까지 한다. 또 처음 만난 사람끼리 어색한 분위기를 깨기 위해 좋은 도구가 되기도 한다. 이런 유머에도 패턴이나 원리가 있을까? 이와 관련한 한 논문을 소개하고자 한다. "Developing a Typology of Humor in Audiovisual Media", Moniek Buijzen and Patti M. Valkenburg 위 논문에서는 웃음에 대한 3가지 이론에 대해 간략히 정리하고, 광고를 분석하여 유머의 유형을 분류한 후 이를 나이대 별로 각 유머 유형별 어떤 반응을 보이는 지 연구하였다.. 2020. 11. 29.
[언어학] 화용론. 간접화행 식당에서 따뜻한 물이 나왔는데, 차가운 물을 먹고 싶다고 하자. 직원에게 차가운 물을 주문(요청, 요구)할 때 어떻게 말할까? "차가운 물 주세요. " 라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여기 차가운 물 있나요? " 하고 말할 수도 있다. 직접화행, 간접화행 일반적으로 요청 및 요구 화행은 '명령문'과 함께 수행된다. 그러나 위 예시처럼 '의문문'의 형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는데, 이를 간접화행(indirect speech act)라고 한다. 서얼은 이러한 간접화행이 어떻게 해석되고, 어떻게 생성할 수 있는 지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럼, 간접화행이란 건 알겠는데, 그럼 '직접화행'이란 개념도 있지 않을까? '직접화행'은 문장의 형식(sentence type)과 그 형식에 따른 무표적인 의도가 일치되는 화행 또는 .. 2020. 11. 28.
[언어학] 화용론. 화행(Speech Act) 화행이란? 말 그대로 해석하면, 말이 뭔가 행동을 한다는 뜻인데, 잘 와닿지 않는다. 말이 무언갈 행한다 하면 어떻게 행할까? 결혼식장에서 하는 맹세나 사장이 직원에게 하는 해고 선언(명령?). 실제 효력은 문서와 절차에 따른다 해도, 우리는 말이 어떤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화행(Speech Act)'이라고 명명한 것이 아닌가 싶다. 배경 의미론에서 주로 다루는 분야는 문장의 참과 거짓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진술문'에서 잘 드러난다. 이 진술문에 대한 연구는 언어학 분야에서 꾸준히 이뤄져 왔지만, 다른 유형인 '수행문'은 잘 이뤄지지 않았다. 화행이론은 이 '수행문'과 '진술문'의 구분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수행문 vs 진술문 진술문은 문장의 참, 거짓을 따질 수 있어야 .. 2020. 11. 20.
[언어학] 화용론. 전제-2 투사 문제(Projection Problem) 투사 문제는 합성성의 원리와 연관지어 생각해봐야 한다. 합성성의 원리란, 간단히 말해서, 복잡한 표현들의 의미는 단순한 표현들의 의미의 합으로 결정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문장의 의미는 그 문장을 이루는 구, 단어의 의미의 총합으로 이뤄진다는 원리이다. 이 합성성의 원리를 '전제'에 적용해 보면, 문장의 전제는 해당 문장을 이루는 단어나, 구의 전제들의 합으로 볼 수 있고, 복문의 전제는 해당 복문을 이루는 단문 전제들의 합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문제는 이러한 합성성의 원리가 실제로 적용되지 않는 경우들이 존재한다. 어떤 경우에는 구나 단어의 전제가 상위 층위인 문장의 전제로 '투사'되지만, 어떤 경우에는 '투사'되지 않는다. 이런 문제들을 '투사 문.. 2020. 11.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