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02 pyinstaller FileNotFoundError: [Errno 2] No such file or directory: [16716] Failed to execute script 오류 pyinstaller로 .py 파일을 .exe로 빌드하려다 오류가 발생했다. 제목에도 나와있는 것처럼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해결했는 지 공유하고자 한다. 간단히 .spec 파일을 수정해주고, .spec 파일로 빌드해주면 된다. 처음에 pyinstaller 파일이름.py 로 빌드를 하면 .spec 파일이 생성될 것이다. 이 .spec파일을 문서 편집기 등으로 열면 다음과 같은 코드가 나오는데(일부만 뽑았다.) 이 중 datas 부분에 빌드 과정에서 빠진 파일과 코드에서 요구하는 폴더 구조를 넣어주면 된다. a = Analysis(['ui.py'], pathex=['C:\\Users\\YJW2\\Documents\\NLP\\poetry_rhymer'], binaries=[], datas=[].. 2020. 12. 6. [언어학] 화용론. 직시(deixis) 직시(deixis)란 무엇인가. 'deixis'는 그리스어로 'reference'라는 의미라고 한다. 이 의미가 화용론에서 적용되기 위해선 '문맥'과 연관지어 보면 되겠다. 어떤 대상을 가리키긴 하는데, 문맥 속에서 가리키게 된다. 우리는 이 직시를 통해 시공간적 제약을 넘어 다른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으며, 이는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가능케 한다. 예를 들어 친구들과 게임을 하는 중에, 6시 방향에 적 발견, 나 스킬 쿨타임 남아서 30초 뒤에 잡으러 가자. 라고 한다면, '6시 방향(장소)', '나(사람)', '30초 뒤(시간)'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문맥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갖는다. '장소'는 보는 관점이나 화자나 청자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인칭 대명사 역시 화.. 2020. 12. 6. 끝말잇기의 고수 끝말잇기와 직업이 연관 있을까? www.youtube.com/watch?v=gH7sg5Gqe0w 최근 진용진이라는 유튜버의 영상 중에서 '끝말잇기'를 주제로 한 영상을 굉장히 재미있게 보았다. 국어학자와 화학자 간의 끝말잇기 대결이었는데, 화학 연구원 분이 이기시긴 했으나, 그 뒤에 나오는 끝말잇기 고수들의 대결이 정말 충격적이었다. 특히 고수들의 대결을 살펴보면, 어릴 적 했던 끝말잇기 온라인 게임의 어휘와는 완전히 다른 어휘들을 선보였다. 사용된 단어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국어학자와 화학자 사이의 대결에 사용된 단어들이다. 국어학자 vs 화학자 국카스텐 > 텐텐 > 텐미닛 > 닛케이지수 > 수산화나트륨 > 윰라대왕 > 왕성 > 성수 > 수산화칼륨 수명 > 명줄 > 줄넘기 > 기온 > 온스.. 2020. 12. 4. 개그의 기술 들어가며 유머는 우리 삶을 풍요롭게 해 준다. 힘든 일이 있을 때나, 아니면 일상 속에서 웃을 일이 있기에 힘이 나기도 한다. 누군가는 사람들을 이 유머 감각을 갈고 닦아 웃게 만드는 일을 직업으로 삼기까지 한다. 또 처음 만난 사람끼리 어색한 분위기를 깨기 위해 좋은 도구가 되기도 한다. 이런 유머에도 패턴이나 원리가 있을까? 이와 관련한 한 논문을 소개하고자 한다. "Developing a Typology of Humor in Audiovisual Media", Moniek Buijzen and Patti M. Valkenburg 위 논문에서는 웃음에 대한 3가지 이론에 대해 간략히 정리하고, 광고를 분석하여 유머의 유형을 분류한 후 이를 나이대 별로 각 유머 유형별 어떤 반응을 보이는 지 연구하였다.. 2020. 11. 29. [언어학] 화용론. 간접화행 식당에서 따뜻한 물이 나왔는데, 차가운 물을 먹고 싶다고 하자. 직원에게 차가운 물을 주문(요청, 요구)할 때 어떻게 말할까? "차가운 물 주세요. " 라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여기 차가운 물 있나요? " 하고 말할 수도 있다. 직접화행, 간접화행 일반적으로 요청 및 요구 화행은 '명령문'과 함께 수행된다. 그러나 위 예시처럼 '의문문'의 형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는데, 이를 간접화행(indirect speech act)라고 한다. 서얼은 이러한 간접화행이 어떻게 해석되고, 어떻게 생성할 수 있는 지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럼, 간접화행이란 건 알겠는데, 그럼 '직접화행'이란 개념도 있지 않을까? '직접화행'은 문장의 형식(sentence type)과 그 형식에 따른 무표적인 의도가 일치되는 화행 또는 .. 2020. 11. 28. [언어학] 화용론. 화행(Speech Act) 화행이란? 말 그대로 해석하면, 말이 뭔가 행동을 한다는 뜻인데, 잘 와닿지 않는다. 말이 무언갈 행한다 하면 어떻게 행할까? 결혼식장에서 하는 맹세나 사장이 직원에게 하는 해고 선언(명령?). 실제 효력은 문서와 절차에 따른다 해도, 우리는 말이 어떤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화행(Speech Act)'이라고 명명한 것이 아닌가 싶다. 배경 의미론에서 주로 다루는 분야는 문장의 참과 거짓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진술문'에서 잘 드러난다. 이 진술문에 대한 연구는 언어학 분야에서 꾸준히 이뤄져 왔지만, 다른 유형인 '수행문'은 잘 이뤄지지 않았다. 화행이론은 이 '수행문'과 '진술문'의 구분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수행문 vs 진술문 진술문은 문장의 참, 거짓을 따질 수 있어야 .. 2020. 11. 20. 반응형 이전 1 ··· 4 5 6 7 8 9 10 ··· 17 다음